일상과 취미/초록이 (반려식물기록)

셀프 병해충 진단 (해충 / 곰팡이 / 바이러스 병)

공장장J 2021. 7. 30. 13:43
반응형

온실 근무 당시 만났던 해충 / 곰팡이병 / 바이러스병 에 대한 기록입니다. 흙을 쓰지 않는 수경재배방식이었지만 무균실이 아니기 때문에 각종 해충과 병이 발생하고 예찰을 게을리하면 큰 손해를 보게 됩니다. 저의 초반 업무의 8할은 병해충 예찰이었다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하루 2만 걸음을 걸으며 조사했었지요. 그때 찍고 모은 자료입니다.

텃밭에서 토경재배로 식물이나 작물을 키우시는 분들은 더 많은 해충과 병을 만나겠지요. 베란다 혹은 옥상, 주말농장 텃밭에서도 병해충에 예외는 없으니 참고하여 진단하고 방재하시길 바래요.
특히 바이러스 병에 감염된 식물은 되돌릴 방법이 따로 없습니다. 발견하시면 빨리 개체를 폐기하셔야 해요. 폐기하실 때 사용한 칼이나 톱, 장갑 등은 꼭 소독하여 보관하셔야 이후에 탈이 없습니다.


 

해충 (온실가루이, 진딧물, 총채, 나방/애벌레, 차먼지응애)

 

명칭 | 온실가루이 (vaporariorum / 속명 : Trialeurodes)

  • 특징 ) 매미목 가루이과에 속하는 온실가루이는 크기가 2mm가 되지 않고 흰색을 띠는 작은 날파리 모습이다. 알에서 성충까지 3~4주가 걸리며 성충의 수명은 보름에서 길면 한 달이다. 암컷은 하루 평균 8개씩 산란하여 150~300개의 알을 낳는다.
  • 예찰 ) 잎 뒷면을 살펴보거나 잎을 흔들어 온실가루이 성충이 날아가는 모습으로 진단할 수 있다.
  • 피해 ) 약충과 성충이 구침으로 식물체를 흡즙 하여 식물의 성장이 저해되며 많은 경우 시들음 현상이 나타난다. 또한 흡즙을 통해 온실가루이가 식물체에게 바이러스 병을 옮겨 또 다른 피해를 일으킬 수 있다.
  • 방제 ) 온실 내/오부 잡초에서 발생한 온실가루이가 침입하여 발생될 수 있어 작물 주변 잡초를 제거하거나 농약 등의 화학적 방제로 해결할 수 있다. 친환경 방제법인 생물학적 방제로 이용되는 천적 중 대표적으로 온실가루이좀벌이 이용된다.

잎 뒷면에 붙은 온실가루이

 


 

명칭 | 진딧물

  • 특징 ) 매미목 진딧물과에 속하며 진딧물의 종류는 다양해 발생된 진딧물의 종류를 정확히 진단하기는 어렵다.
  • 예찰 ) 어린잎과 신초, 잎 앞뒷면, 줄기 등 식물체 대부분에 붙어 있는 모습을 관찰할 수 있다.
  • 피해 ) 신초 (새로운 잎)에 붙어 흡즙. 신초 가해로 작물 성장에 방해가 된다. 진딧물의 배설물에 의해 그을음 증상이 나타나며 진딧물의 흡즙에 의해 바이러스병에 감염될 수 있다.
  • 방제 ) 잎 윗면 / 뒷면 꼼꼼히 농약 방제해야 한다. 천적으로는 무당벌레가 있으나 발생량이 많고, 확실한 방제의 경우 화학적 방제인 농약을 사용한다.

진딧물이 점령한 식물체 모습
진딧물이 점령한 식물체 모습

 


 

명칭 | 총채

  • 특징 ) 총채벌레목 총재벌레과에 속하며 크기는 2mm 이하로 작은 편이다. 입틀로 표면을 파괴하여 흡즙하기 때문에 잎이나 과실에 상처를 남긴다. 평균기온이 오를수록 생육이 빨라진다. 외국에서 유입된 해충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현재 전국으로 확산되어 주요 해충 중 하나다.
  • 예찰 ) 성충은 주로 꽃과 잎에 서식하기 때문에 집중적으로 살펴봐야 한다.
  • 피해 ) 잎이나 과실을 가해하여 바느질 모양의 상처가 남는다. 상품성이 중요하지 않는다면 먹는 데에는 않다면 크게 문제 되지는 않다. 흡즙으로 인한 바이러스병 감염 위험성이 있다.
  • 방제 ) 꽃과 잎을 집중적으로 4~5일 간격 농약방제해야 한다.

총채 가해 흔적

 


 

명칭 | 애벌레

  • 특징 ) 나방, 나비의 유충으로 잎을 갉아먹으며 성장한다. 눈으로 확인이 쉽다.
  • 예찰 ) 상단 신초 주위, 잎 앞뒷면에 애벌레가 있을 시 잎에 배설을 해두고, 작은 거미줄 같은 실을 남기기 때문에 흔적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피해 ) 잎을 주로 갉아먹는데 여린 신초 부위를 가해하기 때문에 성장에 문제가 생긴다.
  • 방제 ) 농약을 사용한 화학적 방제하거나 많지 않다면 직접 제거해준다.

애벌레가 잎을 갉아먹고 똥도 싸고 있다.

 


 

명칭 | 차먼지응애 (latus / 속명 : Polyphagotarsonemus)

  • 특징 ) 먼지응애과. 먼지처럼 작은 해충이라 눈으로 보고 발견하기 어렵다. 15~20℃가 발육 적온으로 25℃, 30℃ 높아짐에 따라 사망률이 높고 산란율이 떨어진다.
  • 예찰 ) 차먼지응애로 피해를 입으면 생장점 위주 상단 잎이 바짝 마르고 주름이 생기거나 말리는 뻣뻣한 모습을 보인다.
  • 피해 ) 생장점 부근의 잎이 말라 떨어지고 그 옆에 새잎이 나면 새잎으로 이동하여 피해를 주어 다시 잎을 떨어뜨려 식물의 성장이 저해된다. 이미 피해 입은 잎은 복구가 안되기 때문에 다른 식물체에 비해 생장이 더디게 된다.
  • 방제 ) 응애약제로 방제 가능하며 농약방제 후 전개되는 잎이 정상적으로 자라면 약효가 있는 것으로 보면 된다. 천적으로는 이리응애가 있다.

차먼지응애 피해를 입은 식물체

 


 

곰팡이병 (흰가루병 / 잿빛곰팡이 / 후사리움)

 

 

명칭 | 흰가루병

  • 특징 ) 잎 뒷면에 하얀 곰팡이가 피어나는 곰팡이 병으로 공기 감염된다. 고추, 토마토, 오이 등이 발생기주로 알려져 있다. 가을 등 건조가 심한 경우 발생한다.
  • 증상 ) 주로 잎에 발생. 잎 뒷면의 엽맥을 따라 하얀 포자가 발생하다 심하면 발생하면 잎이 고사되어 떨어지고, 신엽만 남게 된다.
  • 방제 ) 병든 잎을 초기에 제거하거나 유황등을 켜놓으면 소독이 되어 치료된다. 유황은 건강에 유의해 사용해야 하며 사용 시에는 주변에 머물지 않도록 한다.

 


 

명칭 | 잿빛곰팡이

  • 특징 ) 시설재배 시 기온이 20℃내외이고 습도가 높을 때 많이 발생하며, 노지재배 시는 여름철 장마기 때 주로 발생한다.
  • 증상 ) 과실의 감염은 주로 꽃이 달린 부위에서부터 시작되므로 과실이 커지면서 꽃이 쉽사리 떨어지지 않는 품종에서 발생이 심하다.
  • 방제 ) 병든 잎과 과일 제거, 통풍과 투광을 좋게 한다.

 


 

명칭 | 시들음병

  • 특징 ) 균사나 후막포자의 형태로 월동. 서늘한 지방에서는 병 발생이 적고, 감염되어도 병 증상이 나타나지 않다가 수확기 기온이 오르며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병 발생에 적합한 온도는 24℃ 이상, 16℃ 이하와 33℃ 이상에서는 발병되지 않는다. 기주식물 없이도 토양 속에서 수년간 생존하기 때문에 방제가 매우 어렵고 흔한 병해다.
  • 증상 ) 초기에는 아랫잎이 시들며 처진다. 역병 증상과 비슷하지만 병 진전이 느리고 잎이 약간 누렇게 변하면서 서서히 죽는다. 병든 부위는 갈색을 띠며 썩는다. 껍질은 쉽게 벗겨지는 것이 특징이다. 역병과는 달리 지상 부위는 직접 침해를 받지 않으나 병든 그루의 과실은 작고 품질이 나빠진다.
  • 방제 ) 피해 발생 작물을 제거하고 작업 도구를 소독한다. 등록된 약제를 사용하여 방제한다.

 


 

바이러스병 (모자이크병 - 잠두위조 / 토마토반점위조 / 오이모자이크)

 

명칭 | 잠두위조바이러스(BBWV)

  • 특징 ) 진딧물에 의해 즙액 감염된다.
  • 증상 ) 신초, 생장점 상단 부위가 구부러지며 위축되고 잎과 과실에 얼룩덜룩한 무늬가 나타나며 괴사 되고 심하면 작물이 고사하게 된다. 과일은 원형반문이 나타나거나 기형이 되어 상품가치가 전혀 없는 치명적인 병이다.
  • 방제 ) 바이러스는 치료방법이 없으므로 감염된 식물체는 빨리 폐기한다. 해충에 의해 바이러스가 다른 식물로 전파되지 않도록 예찰로 빠른 발견과 빠른 폐기가 중요하다. 진딧물이 전염시키므로 진딧물의 기주를 제거하고 등록된 살충제를 살포하여 진딧물을 방제한다.

 


 

명칭 | 토마토반점위조(TSWV)

  • 특징 ) 토마토반점위조바이러스는 1915년 호주 빅토리아주에서 처음 발생돼 1920년에는 호주 전역으로 확대되었다. 총채벌레에 의한 충개전염된다. 기주식물은 고추, 토마토, 감자, 국화, 콩, 땅콩, 총각무 등 25 종의 작물에서 발생한다.
  • 증상 ) 신초, 생장점 상단 부위가 구부러지며 위축되고 잎과 과실에 얼룩덜룩한 무늬가 나타나며 괴사 되고 심하면 작물이 고사하게 된다. 과일은 원형반문이 나타나거나 기형이 되어 상품가치가 전혀 없는 치명적인 병이다.
  • 방제 ) 바이러스에 감염된 후에는 치료방법이 없어 발견 후에는 빠른 폐기가 중요하다. 총채벌레가 전염시키므로 총채의 기주를 제거하고 등록된 살충제를 살포하여 총채벌레를 방제한다.

 


 

명칭 | 오이모자이크(CMV)

  • 특징 ) 즙액 전염 또는 접촉에 의해서도 전염이 된다. 접촉전염은 잎이나 줄기 접촉뿐만 아니라 뿌리 접촉에 의해서도 전염된다. 진딧물에 의한 매개충 감염도 이루어진다.
  • 증상 ) 신초, 생장점 상단부가 구부러지며 잎에 요철이 있는 황화 모자이크 무늬가 나타나고 결국 고사하게 된다.
  • 방제 ) 바이러스는 치료방법이 없으므로 감염된 식물체는 빨리 폐기한다. 해충에 의해 바이러스가 다른 식물로 전파되지 않도록 예찰로 빠른 발견과 빠른 폐기가 중요합니다. 진딧물이 전염시키므로 진딧물의 기주를 제거하고 등록된 살충제를 살포하여 진딧물을 방제한다.

위 세 가지 잠두위조 / 토마토반점위조 / 오이모자이크 바이러스병은 육안만으로는 서로 구분이 어렵고 복합 감염되어 발생되기도 하기 때문에 모자이크병으로 통칭하여 봐주셔도 무방합니다.


아래 사이트를 참고하여 작성된 내용입니다. 해충 / 곰팡이병 / 바이러스병 진단 참고하셔서 베란다 텃밭이나 주말농장 텃밭 가꾸시는데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참고사이트
국가농장물병해충관리시스템 https://ncpms.rda.go.kr/
농기자재신문 http://www.newsam.co.kr/mobile/article.html?no=31913

반응형